가계대출 급증에 은행권 금리 ‘역행’ 시작

최근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다시 인상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이자 수익 확보가 아닌,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따른 반응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불과 2주 전까지만 해도 경쟁적으로 금리를 내리던 은행들이 다시금 방향을 선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케이뱅크의 금리 인상, 하루 만에 0.43%p 상승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는 3월 27일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연 4.22%~7.98%로 책정했습니다. 단 하루 전인 26일에는 3.79%~6.62%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하루 만에 최저금리가 0.43%포인트 상승한 셈입니다. 이러한 급격한 조정은 단순히 금리 변동 수준을 넘어서는 중요한 흐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케이뱅크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금리를 인하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2월 18일에는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를 0.23%포인트 인하했으며, 이는 당시 기준으로 주요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해 많은 고객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가계대출 수요가 케이뱅크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자, 다시금 금리를 인상하는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가계대출 급증에 대응한 은행권의 전략 변화 금융당국은 최근까지 금리 인상보다는 대출 심사 강화를 통해 가계대출을 억제하라는 방침을 유지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3월 중순까지 주담대 금리를 일제히 낮추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신한은행은 3월 14일 가산금리를 0.1%포인트 낮췄고, 하나은행 역시 3월 10일에 0.1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의도와 달리, 가계대출 증가 속도는 오히려 가팔라지는 상황입니다. 변동금리형 대출의 이점과 기준금리 하락 기대감이 겹치며, 금리가 낮은 상품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케이뱅크처럼 금리가 낮은 인터넷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은 은행 자체의 유동성과 리스크 관리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케이뱅크는 "시장 상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