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급등, 위기의 골목상권

자엽업자 대출 연체율 급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 사진입니다.

2025년 현재 자영업자들의 경제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의 장기화로 인해 대출 상환이 어려워진 자영업자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연체율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다중 채무 상태에 놓인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은 이미 위험 수위를 넘겼다는 평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영업자 대출 연체 증가의 원인과 그 배경, 그리고 금융권과 정책 대응 상황을 살펴봅니다.

경기 부진 장기화, 자영업자 소득 회복 못 해

2022년 이후 이어진 경기 침체는 자영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특히 건설, 제조, 도소매, 숙박·음식업 등 주요 산업군에서 매출 부진이 이어지며 자영업자들의 수익 구조가 악화됐습니다. 실제로 자영업자 평균 소득은 2022년 말 4,131만 원에서 2023년 말 4,157만 원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4,242만 원 수준은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자영업자의 평균 대출금은 2억 500만 원에서 2억 2,90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수익은 정체 혹은 감소하는데 빚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그 결과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이는 금융 시스템 전반에 불안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며 연쇄적인 고용 감소로 이어졌고, 이는 제조업과 유통, 외식업계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실질적인 소비 위축과 고정비 부담은 자영업자의 생존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다중 채무 자영업자, 연체율 10% 돌파

가장 큰 위험 요소는 ‘다중 채무자’ 자영업자의 급증입니다. 2024년 말 기준, 금융회사 세 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는 42만 7,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 1,000명 증가했습니다. 이들 다중 채무자의 연체율은 10%를 넘어섰으며, 일부는 11%를 초과해 사실상 신용불량 상태로 진입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연체 확대는 단순히 개인의 신용 문제를 넘어서 금융권 전체의 대출 부실화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24년 말 기준 자영업자 중 1개월 이상 연체 중인 차주가 14만 8,000명에 달하며, 이는 2021년 말(4만 1,000명) 대비 3.6배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연체 차주 수는 증가하는 반면, 전체 자영업자 수는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2024년 말 기준 대출이 있는 자영업자는 311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오히려 1만 6,000명 감소했습니다. 다시 말해, 자영업자 중 '버티는 사람'은 줄고, '갚지 못하는 사람'은 늘어나고 있다는 뜻입니다.

고금리 기조와 정책 종료의 이중 타격

2022년부터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은 자영업자들에게 결정타가 됐습니다. 팬데믹 시기에는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 금융 지원 등 정책적 완충 장치가 있었지만, 2023년 이후 대부분의 정책이 종료되면서 실제 상환 압박이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취약 자영업자(다중 채무, 저소득, 저신용)의 연체율은 2023년 말 기준 11.16%를 기록하며, 2012년 9월의 최고치(13.9%)에 근접했습니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약 2억 2,900만 원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 소득은 3,736만 원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실질 소득이 줄고 이자 부담이 커진 가운데, 갚을 여력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근로자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25년 초 현재 고용시장의 회복세는 미미한 수준이며, 임금근로자의 연체율 역시 2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이는 소비심리 위축과 대출 상환 부담 증가로 이어져, 내수 기반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자영업자들은 경기 부진과 고금리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으며, 대출 연체와 부실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중 채무자와 취약 자영업자의 연체율 급증은 금융 시스템 전체의 리스크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단기적 처방뿐만 아니라 구조적 대책과 재기 지원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하며, 개인 차원에서도 현금흐름 재점검과 조기 채무 조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변화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버티는 자’가 아닌 ‘살아남는 자’가 되기 위한 준비가 절실한 시점입니다.